몸짓언어

한국춤의 무릎
춤추라, 보이지 않는 힘을 딛고
국립무용단 무용수들은 매일 아침을 ‘국립기본’으로 시작한다. 발레에 바가노바 혹은 체케티 메소드가 있다면, 한국춤에는 ‘기본’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신무용을 주창한 송범 선생이 다듬은 국립기본은 전통춤의 아성을 간직하는 동시에, 판이 아니라 극장 무대에 서야 하는 무용수들에게 꼭 맞는 ‘기본’으로 자리 잡았다. 굿거리장단으로 시작되는 기본은 무용수에게 규율이자 그 위에 새로운 것들을 쌓기 위한 기반이 돼왔다. 그리하여 한국춤의 몸짓에 깃든 이야기를 되새겨 보고자 국립기본에서 그 흔적을 찾았다. 팔다리부터 손과 발, 허리, 어깨, 그리고 그 모든 것을 아우르는 호흡에 이르기까지 차근차근 짚어본다.

한국춤의 기본 동작을 이야기할 때 가장 먼저 꼽는 동작은 맺고 푸는, 혹은 감고 푸는 팔사위일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움직임이 이루어지는 동안 무용수의 하체는 언제나 ‘굴신’을 반복하고 있다. 배우지 않아도 자연스레 체득할 수밖에 없는 움직임. 겉으론 그저 구부렸다 펴는 정도로 보이는 굴신은 한국춤에서 왜 그토록 중요하게 여겨질까.
한국춤에서 무릎은 특정 춤사위로 불리기보다 다른 동작에 수반되는 움직임으로 생각된다. 그렇다고 단순히 박자 혹은 장단에 맞춰 구부리고 편다고 여겼다면 보이는 것만 생각한 터. 무릎의 유연하고도 폭신한 기동력 없이는 어떤 동작도 완성될 수 없다고 할 만큼 두 무릎의 역할은 중요하다. 그로부터 물결치는 곡선의 움직임이야말로 한국춤이 추구하는 미학과 맞닿아 있으니 말이다.
한국춤에는 천지인과 음양오행의 원리가 깃들어 있다. ‘한국적’ 미학을 이야기할 때 자주 등장하는 두 사상은 우리 춤을 통해서도 구현되며, 또 춤사위의 구조에도 반영되어 있다. 자연과 인간이 하나가 되는 것을 가장 조화로운 상태로 보는 천지인 사상처럼 한국춤은 우주 만물을 움직이는 기운인 음양의 법칙을 따른다. 수축하면 곧 팽창하고, 정(靜)이 있으면 동(動)이 따르며, 발산하는 힘을 위해선 수렴의 시간이 필요하다. 구부러지는 움직임이 곧 ‘음(陰)’이라면, 뻗는 움직임은 ‘양(陽)’이 된다. 무릎을 굽히고 펴기를 반복하며 자연스러운 리듬을 만드는 것은 곧 한국춤이 가진 원리를 드러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굴신에 따라 팔다리 움직임이 확장되고, 자연스럽게 움직임에도 깊이가 생겨난다.

우리 춤에서 무릎 움직임은 크게 두 가지 동작으로 대변된다. 가장 잘 알려진 ‘굴신(屈伸)’은 ‘굽신’ 혹은 ‘굽힘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를 두고 ‘무릎을 움직이지만, 무릎을 사용하지 않는 동작’이라고 묘사하기도 하는데, 이율배반적 표현에는 동작을 구현하는 원리가 담겨 있다. 굴신의 방법은 많은 이들에게 익숙한 운동인 스쿼트를 생각하면 쉽다. 굽힌 무릎은 발끝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하며, 등은 마치 벽에 기댄 듯 꼿꼿하게 펴고, 가장 중요한 것은 무릎 관절이 아니라 허벅지 근육을 사용해 움직인다. 즉, 엉덩이와 허벅지의 힘이 굽히고 펴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무릎을 사용하지 않는 동작’이라는 표현은 굴신의 원리를 되새기게 하는데, 결국 발바닥을 짓이겨 위로 올라가고자 하는 호흡에 의해 자연히 펴졌다가 다시 내뱉는 숨과 함께 굽혀지는 과정을 표현한다. 그래서 무릎은 직접 춤을 춘다기보다 오히려 춤의 연결고리가 되어 움직인다.

회전 동작에 있어 굽혀진 무릎은 회전축이 된다. 묵직하게 디딘 발바닥 위에서 화려한 동작이 펼쳐진다.

‘무릎 들기’는 무릎을 꼭짓점으로 삼아 다리를 펴지 않고 직각 혹은 그 이상 각도로 벌린 채 들어 올리는 동작이다. 제자리에서 고정 동작으로 행하거나 큰 걸음으로 내디디면서 펼치기도 하는데, 특히 호방한 동작이 특징인 태평무나 선비춤 같은 레퍼토리에서 자주 볼 수 있다. ‘무릎 들기’ 또한 단순히 보이는 모습으로 무릎을 들어 다리의 각도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들이쉬고 내쉬는 호흡에 따라 무릎이 들어 올려지며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움직임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무릎은 충격에 약하고 손상이 잦은 신체 부위이기에 오히려 무작정 동작의 외양을 만들기 위해 과하게 움직이면 부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당장 한국춤의 기본자세인 발의 모양만 봐도 그렇다. 뒤꿈치는 붙이고 발끝은 45도가량 바깥쪽으로 벌리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무릎이 벌어지지 않게 모은 상태로 굴신을 하다 보면 무릎이나 발목의 정렬이 뒤틀어지는 경우가 잦다. 또한 크게 도약하거나 연풍대와 같은 회전 동작을 하기 위해서는 굴신에 따르는 이해와 숙련이 필요하다. 결국 더 높이 뛰기 위해 더 깊게 구부릴 수 있어야 하며, 그 모든 동작이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호흡이 중요하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특히 연풍대와 같은 회전 동작이나 전신을 사용하는 동작에서 무릎의 역할은 빛을 발한다.

굴신은 그저 굽히고 펴는, 내려가고 올라오는 움직임이 아니라 나만의 공간을 가지고 춤을 추는 과정과 같다. 무용수는 두 팔과 다리를 한껏 뻗어 자신만의 공간을 확보하고, 그 안에서 자신의 호흡을 타고 움직임의 세계를 누빈다. 동그랗고 큰 짐볼에 앉아 고무공 안에 가득 찬 공기를 느끼며 탄성과 리듬을 즐겨본 적 있는가. 그 쫀득하고 탱탱한 탄성이 바로 굴신과 같은 무릎 움직임에 존재한다. 그리고 그 관성을 견디고 다시 튀어 올라갈 순간은 오롯이 무용수의 호흡과 힘으로 조율된다.
오케스트라의 연주를 이끌어가는 것은 물론 그들의 음악 색깔까지 좌우하는 이가 지휘자라면, 한국춤에서 움직임을 지휘하는 것은 다름 아닌 호흡의 역할이다. 그러나 어떻게 들이쉬고 내뱉어야 하는지 호흡에 따르는 기본 원리는 배울 수 있을지언정 그 이상의 것들은 스스로 터득해 나가야 한다. 연륜에 따라 발현되는 우리 춤만의 색깔이 존재하는 이유가 아닐까.

자문. 국립무용단 훈련장 장현수
무용. 국립무용단 송설·송지영
사진. 전강인
글. 김태희 춤으로 시작해 전통예술·연극·시각예술까지 범위를 넓혀가며 예술을 글과 책으로 엮어내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발레를 전공하고 동 대학원에서 무용이론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월간 국립극장> 구독신청 <월간 국립극장> 과월호 보기
닫기

월간지 '월간 국립극장' 뉴스레터 구독 신청

뉴스레터 구독은 홈페이지 회원 가입 시 신청 가능하며, 다양한 국립극장 소식을 함께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또는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편리하게 '월간 국립극장'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회원가입 시 이메일 수신 동의 필요 (기존회원인 경우 회원정보수정 > 고객서비스 > 메일링 수신 동의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