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짓언어

한국춤의 머리와 어깨
이윽고 춤이 고양될 때
국립무용단 무용수들은 매일 아침을 ‘국립기본’으로 시작한다. 발레에 바가노바 혹은 체케티 메소드가 있다면, 한국춤에는 ‘기본’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신무용을 주창한 송범 선생이 다듬은 국립기본은 전통춤의 아성을 간직하는 동시에, 판이 아니라 극장 무대에 서야 하는 무용수들에게 꼭 맞는 ‘기본’으로 자리 잡았다. 굿거리장단으로 시작되는 기본은 무용수에게 규율이자 그 위에 새로운 것들을 쌓기 위한 기반이 돼왔다. 그리하여 한국춤의 몸짓에 깃든 이야기를 되새겨 보고자 국립기본에서 그 흔적을 찾았다. 팔다리부터 손과 발, 허리, 어깨, 그리고 그 모든 것을 아우르는 호흡에 이르기까지 차근차근 짚어본다.

‘시대의 지성’ 고(故) 이어령 선생은 우리의 전통 복식 가운데 갓을 두고 ‘머리의 언어’라 표현했다. 그것을 쓴 사람의 인격이나 정신을 표현하는 언어이자 기호라는 것이다. 갓을 쓴 이의 몸은 남자의, 선비의, 양반의 시니피앙(기표)이 된다. 무용수에게도 그와 같은 시니피앙이 존재한다. 한국춤에 맛을 내는 요소이자 과연 한국적 춤사위의 멋이라 할 수 있는 ‘머릿짓’이다. 움직임에 따라 자연스럽게 장단을 타는 고갯짓, 그것은 무용수만이 가질 수 있는 ‘머리의 언어’이자 기호 아닐까.

무용수의 기운은 정면을 향하면서도 시선은 사선으로 비낀 머릿짓은 한국춤의 은은한 미감을 만들어낸다.

때때로 한국춤의 매력은 규정되지 못한 범주에서 발현된다. 호리호리하고 긴 몸선을 가진 아리따운 청년보다 무릎이 성하지 않아 깊게 굴신하는 것조차 더딘 노년의 춤에서 감동을 받는 것은 우리 춤이니 가능한 이야기다. 우리 전통춤은 풍성한 볼거리가 아니라 춤을 추는 이의 연륜이 얼마나 깊으며 그 정신은 또 얼마나 고양됐는지를 드러낸다. 외형적인 모습보다 무용수에게 내재한 정신이나 그 인격체에서 우러나는 멋에 주목한다. 한국춤에서 ‘곰삭은’ 혹은 ‘농익은’ 멋이 느껴진다는 표현은 움직임 자체가 푹 삭아버릴 만큼 성숙해 완성에 가깝다는 것을 은유한다. 젊은 춤에서 느낄 수 없는 맛 말이다.

머릿짓은 어깨와 팔의 움직임에 따라 고개의 움직임을 미묘하게 바꾸는 과정에서 만들어진다.
원리는 간단하지만 실제 춤에서 머릿짓은 방향이 정해지지 않은 추상적 형태로도 나타난다.

보는 사람마다 춤의 맛을 발견하는 요소는 다르겠지만 머리와 어깨의 합작으로 완성되는 머릿짓은 곰삭은 춤의 맛을 유감없이 보여주는 부분이다. ‘좌우새’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진 이 동작은 팔과 다리의 기초 동작과 함께 배울 정도로 중요하게 여겨진다. 쉽게 말해 무용수들이 움직임을 할 때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고갯짓을 일컫는데, 꼿꼿하게 한쪽으로 고개를 든 채 움직이는 발레와 달리 장단에 맞춰 걸어 나오는 한국무용수들의 턱끝이 좌우로 살랑이며 움직이는 데서 발견할 수 있다.

팔과 다리의 움직임에 따라 자연스럽게 배어 나오는 머릿짓은 무용수의 연륜을 짐작하게 한다.

사실 머릿짓의 방법은 간단하다. 먼저 시선은 정면에 고정한다. 그리고 오른쪽 어깨가 뒤로 밀려날 때 턱끝이 오른쪽을 향하며 고개가 왼쪽으로 약간 기울어지게 한다. 반대로 왼쪽 어깨가 뒤로 밀려날 때는 고개가 오른쪽으로 향한다.
연속 동작이기에 좌우를 반복하는 형태로 이뤄진다. 이것이 머릿짓을 하는 방법의 전부다. 그러나 실제 춤에서 머릿짓은 좌우만 아니라 상하 혹은 혼합 형태, 나아가 방향이 정해지지 않은 추상적 형태로도 나타난다. 기본 원리만 있을 뿐 무용수가 오롯이 자신의 춤사위에 어울리게 만들어야 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고개를 몇 도로 꺾어야 적절한지, 속도는 어느 정도가 적당한지, 머릿짓에는 정답이 없다. 오히려 무보(舞譜)라는 해답이 있는 정재에는 머릿짓이 없다. 궁중의 예법에 따라 가채를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기에 이때 머리는 시선을 따라 정제된 형태로 움직일 뿐이다.
머릿짓은 겉으로 보이지 않아도 치마나 도포 자락 안에서 분주하고 치밀하게 장단을 밟고 있는 버선코처럼 한국춤에서 당연한 사위이지만 요즘 들어 그 맛이 점점 희석돼 가고 있다. 마당과 판이 아닌 프로시니엄 극장 무대가 기본값이 되면서 그 미묘한 멋을 살리기보다는 넓은 객석 어디서나 잘 보이는 동작 위주로 춤이 꾸며지기 때문이다. 좌우새 없이 손목의 돌림사위가 이뤄지고, 하체로부터 머리끝까지 순환하는 호흡 없이 어깻짓은 그저 정직하게 박자를 따라간다. 하지만 그것이 옳은 길은 아닐지언정 마냥 비난할 수는 없는 현실이다. 내적인 완성보다 “와!” 하고 탄성이 터지는 예쁜 동작을 만드는 데 집중하는 것은 어쩌면 변화한 공연 환경이 낳은 산물일지도 모르니 말이다.

무용수의 팔과 머리는 유기적으로 움직이며 춤사위를 만들어낸다. 객석 쪽으로 향한 어깨 방향에 따라 턱끝이 함께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다.

“제 경우는 새벽 6시에 연습실에 도착해서 일단 국립기본을 한 번 하고, 땀을 씻고 난 뒤 연습 준비를 했어요. 연습복 저고리 깃에는 매번 깨끗한 동정을 달아서 준비하고요. 얼굴에 분칠을 하고 젤을 발라서 가르마를 탄 다음에 단단하게 머리를 땋았지요. 그렇게 다 갖춰야 비로소 우리 춤에 어울리는 모습이 돼요. 시간이 아주 오래 걸리죠. 춤에 임하는 정신적인 준비 과정이랄까요. 그렇게 함으로써 내적으로 탄탄해지는 거예요.”
1996년 입단해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는 장현수 훈련장은 단정하게 머리를 빗어 넘기던 것으로 그 시절 국립무용단의 모습을 회고한다. 비록 시대가 변화하고 구성원과 춤까지도 오늘에 맞게 바뀌었지만, 한국춤에서 머리를 이야기할 때 다양한 종류의 관모와 머리 모양은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다.
농악에서 출발해 전통 연희의 요소로 자리 잡은 상모는 한국춤에도 종종 등장한다. 특히 국립무용단 여성 무용수들은 <Soul, 해바라기> 속 북어춤을 위해 상모 돌리기를 연마하기도 했다. 두 손은 북어를, 머리는 상모를 돌리는 동시에 익살스러운 춤을 이어가는 모습은 과연 한국무용수들이 악가무 일체의 예인이라는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전통춤에는 잔머리 한 가닥도 흘러내리지 않도록 반듯하게 틀어 올린 쪽머리가 제격이다. 여성 무용수는 자신에게 어울리는 쪽머리를 만들기 위해 심혈을 기울여 가르마 위치를 결정하고, 뒤통수에 볼륨을 넣거나 머리통 모양을 예쁘게 보이도록 다양한 방법을 고안한다. 태평무나 화관무의 경우 가채·족두리를 쓰며, 남성 무용수는 으레 상투머리를 하고 갓을 착용한다.
중요한 자리에서 누군가를 만나기 전 매무새를 다듬거나 힘껏 달리기 위해 머리를 질끈 묶는 모습처럼 우리 일상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우리 춤에도 자연스레 배어 있다. 깨끗하게 빗은 머리와 단단하게 관통한 비녀, 가뿐하게 올려 쓴 갓까지. 반듯하게 꾸민 머리 모양을 보고 있으면 전통과 닿아 있는 춤에 화응하려는 무용수의 마음이 들여다보이는 듯하다. 이윽고 그 멋과 맛이 무르익은 움직임이 시작될 터이니.

자문. 국립무용단 연습단장 장현수
무용. 국립무용단 송설·송지영
사진. 전강인
글. 김태희 춤으로 시작해 전통예술·연극·시각예술까지 범위를 넓혀가며 예술을 글과 책으로 엮어내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발레를 전공하고 동 대학원에서 무용이론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월간 국립극장> 구독신청 <월간 국립극장> 과월호 보기
닫기

월간지 '월간 국립극장' 뉴스레터 구독 신청

뉴스레터 구독은 홈페이지 회원 가입 시 신청 가능하며, 다양한 국립극장 소식을 함께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또는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편리하게 '월간 국립극장'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회원가입 시 이메일 수신 동의 필요 (기존회원인 경우 회원정보수정 > 고객서비스 > 메일링 수신 동의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