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짓언어

한국춤의 손과 팔
가지를 뻗고, 꽃을 피우는
국립무용단 무용수들은 매일 아침을 ‘국립기본’으로 시작한다. 발레에 바가노바 혹은 체케티 메소드가 있다면,
한국춤에는 ‘기본’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신무용을 주창한 송범 선생이 다듬은 국립기본은 전통춤의 아성을
간직하는 동시에, 판이 아니라 극장 무대에 서야 하는 무용수들에게 꼭 맞는 ‘기본’으로 자리 잡았다. 굿거리장단으로 시작되는 기본은 무용수에게 규율이자 그 위에 새로운 것들을 쌓기 위한 기반이 돼왔다.
그리하여 한국춤의 몸짓에 깃든 이야기를 되새겨 보고자 국립기본에서 그 흔적을 찾았다.
팔다리부터 손과 발, 허리, 어깨, 그리고 그 모든 것을 아우르는 호흡에 이르기까지 차근차근 짚어본다.

춤은 어떤 설명 없이 바라보는 자체로, 보는 이의 마음이 닿는 순간 움직임이 된다. 숱한 인터뷰에서 무용수들이 “말로 설명하는 것보다 춤을 추는 게 편하다”라고 하는데 이는 결코 빈말이 아니다. 그 과정에서 매개체는 다름 아닌 몸이다. ‘춤’이자 ‘표현’이자 때때로 온전한 ‘삶’인 것. 몸짓을 그들의 ‘언어’라 할 수 있는 것도 언어의 기능만큼 춤이 지닌 면면이 다채롭기 때문일 것이다.

한국춤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왕실을 중심으로 연행된 궁중춤(정재)과 서민 사회에서 널리 퍼진 민속춤을 만나게 된다. 정재는 개별 동작이나 구체적 표현보다는 예법과 존중의 방식으로 표현되는 춤이었다. 민속춤의 경우 관객과 무용수가 구분되지 않고 한 공간에서 소통하고 교류하는 특성을 가진다. 기교(테크닉)를 중요하게 보고 꾸준히 발전시킨 서양의 춤과 달리 우리 춤은 무용수의 몸과 기의(氣意)를 중요하게 여겼다. 표현보다는 동작을 그려내는 주체인 무용수와 그 몸이 통합되어 만드는 ‘합일’에 주목한다. 그래서 한국춤의 동작은 특정한 의미를 지니기보다 추상적이다.

덩실덩실 어깻짓하는 소고춤도 좋지만, 느릿하게 여운을 남기는 살풀이춤도 아름답지 않은가. 둘 사이의 공통점이 있다면 몸의 중심으로부터 발생하는 움직임이 힘을 만들어낸다는 것이다. 손끝까지 힘껏 뻗어 모양을 만드는 발레와 달리, 한국춤은 중심과 호흡에 집중한 나머지 손끝과 발끝은 흘러가는 대로 내버려 둔다. 어떤 형태의 동작 혹은 어떻게 움직이는 춤사위가 아름다운 것이냐는 질문에 “세월이 결정하는 것”이라거나 “완성은 없다”라는 무용수들의 우문현답은 동작이 내포한 본질적 특성을 반영한다.

저고리의 짧은 기장에 대비되는 길고 미끈한 소매, 그 끝에 살갗을 드러낸 두 손. 단단한 어깨로부터 자유롭게 뻗어나와 움직이는 팔과 손은 무용수의 몸짓으로 그려낸 선을 완성하는 부분이다. 모든 신체 부위의 합일과 호흡으로부터 태동하는 한국춤의 동작이 비로소 꽃을 피우는 순간이기도 하다. 겉으로 크게 동작이 드러나지 않지만, 그 속에서는 움직임의 기운이 쉬지 않고 끊임없이 흐르고 있다. 내면의 움직임으로 춤사위가 완성되는 경지에서 팔은 그 응축된 에너지를 표현하며, 손은 화려하고도 고고하게 맵시를 완성한다.

한국춤 팔사위의 기본은 직선으로 뻗어내거나 멈추지 않고 둥근 선을 유지하는 데서 출발한다. 국립기본의 첫 동작이자 무릎을 구부렸다 펴는 ‘굴신’과 함께 두 팔은 장단에 맞춰 몸을 감싸듯 교차로 앞뒤를 오가는데, ‘감는다’고 하는 이 움직임은 기본 동작이자 에너지를 단전으로 끌어모으며 춤을 위해 예를 갖추는 의미를 지닌다. 팔을 ‘감는’ 동작은 양팔 옆으로 들고 하체의 중심을 서로 다른 발에 살짝살짝 옮겨가면서 앞뒤 혹은 좌우로 몸을 밀고 당기는, ‘어른다’고 하는 팔사위로 확장된다.

팔을 ‘감는’ 동작은 양팔 옆으로 들고 하체의 중심을 서로 다른 발에 살짝씩 옮겨가면서 앞뒤 혹은 좌우로 몸을 밀고 당기는, ‘어른다’고 부르는 팔사위로 확장된다.

이때 중요한 것은 팔꿈치와 손목이 곡선을 유지하며 산들산들 바람에 흔들리듯 움직여야 한다는 것. 끊기거나 뻣뻣하게 견디지 않고 물 흐르듯 유연한 움직임을 만들어야 하는 부분이다. 또한 한국춤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팔사위는 양팔 혹은 한쪽 팔을 머리 위쪽으로 뻗었다가 귀 뒤쪽으로 쓸어 내려오는 형태다. 이것을 ‘맺는다’ 혹은 ‘맨다’고 하는데, ‘감고’ ‘어르고’ ‘맺고’ ‘푸는’ 팔사위는 한국춤에서 가장 기본적인 움직임이자 다양하게 변주 가능한 기본이라 할 수 있다.

팔을 들어 올릴 때는 호흡을 들이마시면서 팔꿈치 아래로는 힘을 빼고 자연스럽게 당겨 올리듯 상승한다. 이때 손끝은 자연스럽게 아래쪽으로 툭 떨어져 있지만 손목이 산등성이처럼 올라가면서 물결과 같은 곡선이 형성된다. 호흡과 장단에 맞춰 손목이 회전하면 ‘엎음사위’와 ‘젖힘사위’를 만들어낸다. ‘엎음사위’는 손바닥이 땅을 향하는 형태, ‘젖힘사위’는 하늘을 향해 손바닥을 뒤집는 형태를 지칭한다.

‘엎음사위’는 손바닥이 땅을 향하는 형태를 지칭한다.
‘젖힘사위’는 하늘을 향해 손바닥을 뒤집는 형태를 지칭한다.
‘엎음사위’와 ‘젖힘사위’의 응용 동작

두 팔을 머리 위쪽으로 뻗을 때는 발레에서처럼 팔과 손을 동그랗게 원으로 만들지 않고, 손바닥은 바깥쪽을 향한 채 손등이 서로 마주 보도록 한다. 양팔이 팔(八) 자를 그린다고 해서 ‘팔수’라고도 하는 이 동작에는 불교의 여덟 가지 바른 생각(八正道)을 의미한다는 설도 깃들어 있다. 한쪽 팔을 내리거나 다른 동작을 취하면 무궁무진하게 응용되는 기본 사위이기도 하다. 두 팔 중 한쪽을 들어 올려 사선으로 뻗는 동작은 한국춤에서 가장 즐겨 등장하는 팔사위다. 마치 새가 날아가는 모습을 닮았다고 해서 ‘비상’ 혹은 ‘기러기선’이라고도 하는데, 시선의 방향은 낮게 올린 팔을 향하는 것이 정석이다.

‘비상’은 팔을 사선으로 뻗어 새가 날아가는 듯한 형태를 지칭한다. 시선은 낮게 올린 팔을 향한다.

무용수의 손은 춤의 태를 좌우하는 부분이다. 특히 춤을 추면서 여러 가지 악기를 자유자재로 연주해야 하는 한국춤의 특성상 손목의 유연한 사용이 중요하다. 몸의 가장 먼 곳까지 아름다운 자태를 만들어내는 손의 표현에는 발디딤새와 마찬가지로 무용수의 연륜이 은밀하게 묻어나기도 한다. 또한 손은 치맛자락을 걷어 올리거나 도포 자락을 잡는 독특한 부가 역할도 맡고 있다. 엄지와 검지, 중지만을 사용해 날렵하게 자락을 붙잡으면서도 나머지 손가락으로는 자태를 정리하는 모습은 한복의 미감을 살린 일종의 춤사위로 볼 수 있지 않을까.

춤의 태를 좌우하는 무용수의 손은 악기나 소품을 들거나 한복 자락과 어우러질 때 더욱 빛을 발한다.
때때로 창작무용에서 손은 강렬한 의지의 표현이 되기도 한다.

때때로 창작무용에서 손은 강렬한 의지의 표현이 되기도 한다. 핀란드 안무가 테로 사리넨의 ‘회오리’에서 무용수들은 손바닥을 완전히 벌려 뻗어내거나 손가락 하나하나를 강조하며 사용하는데, 이는 자연과의 연결을 의미하는 무용수의 표현으로 나타난다. 기본을 토대로 자유롭게 확장·변형되는 다양한 팔사위는 캐릭터의 감정을 드러내거나 무용수의 표현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낳는다. 호흡으로부터 우러나와 무용수의 시선을 따라 손끝이 지나간 길에 그렇게 춤선의 여운이 진하게 남는다.

자문. 국립무용단 연습단장 장현수
무용. 국립무용단 송설·송지영
사진. 전강인
글. 김태희 춤으로 시작해 전통예술·연극·시각예술까지 범위를 넓혀가며 예술을 글과 책으로 엮어내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발레를 전공하고 동 대학원에서 무용이론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월간 국립극장> 구독신청 <월간 국립극장> 과월호 보기
닫기

월간지 '월간 국립극장' 뉴스레터 구독 신청

뉴스레터 구독은 홈페이지 회원 가입 시 신청 가능하며, 다양한 국립극장 소식을 함께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또는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편리하게 '월간 국립극장'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회원가입 시 이메일 수신 동의 필요 (기존회원인 경우 회원정보수정 > 고객서비스 > 메일링 수신 동의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