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시선

서울대학교 국악과 조교수 안나 예이츠
인생 백년을 담은 판소리
KR EN
판소리의 현재가 무엇인지에 대해 고민하는 이들이 있다. 수많은 연구자 그리고 연행자들이다.
그중에서도 단연 눈에 띄는 사람이 있다. 바로 런던대학교에서 ‘오늘의 판소리’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은 서울대 국악과 조교수 안나 예이츠 씨다. 그녀는 어떻게 판소리에 빠졌을까.

판소리는 인간으로서 우리가 겪는 모든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장르다. 그렇기에 오랜 세월 함께하면서도 계속 새로운 매력을 발견하고, 호기심을 갖게 된다. 판소리라는 장르를 알게 된 것은 2013년이지만, 판소리를 처음으로 접한 것은 독일에 살았을 때다. 나는 1989년에 독일·영국 이중국적 가정에서 태어났고, 어른이 될 때까지 독일 뮌헨 남쪽에 있는 작은 농촌에서 자랐다. 당시에는 다른 문화를 접할 기회가 별로 없었는데, 우연히 TV에서 임권택 작품 <춘향뎐>을 본 기억이 난다. 판소리에 대한 아무런 인식 없이 그저 아름다운 한복이 나오는 장면, 그리고 감동적인 이야기를 즐겼던 기억이 난다.

판소리라는 장르와 진짜 만난 것은 2013년 1월이었다. 학점을 채우기 위해 들었던 아시아 전통음악 수업에서였다. 영상과 음원으로 처음 접한 판소리는 그다지 매력적으로 느껴지지는 않았다. 그러다 기회가 닿아 주영한국문화원에서 개최하는 공연을 보게 되었다. 그때의 기억이 지금도 생생하다.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적벽가) 보유자이신 송순섭 명창과 그의 제자인 이자람 명창이 ‘적벽가’ 중 ‘새타령’과 ‘조자룡 활 쏘는 대목’을 불렀는데 처음에는 새소리를 흉내 내는 발성법에 놀랐고, 그다음에는 강 위에서 배를 타고, 싸우고, 활을 쏘는 장면을 오직 목소리와 부채 발림(몸짓)을 통해 표현할 수 있다는 점에 다시 한번 놀랐다. 당시 나의 한국어 실력은 ‘적벽가’를 소화할 수준이 아니었음에도, 소리꾼의 표현 능력만으로 이야기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었다. 이것이 바로 현장에서 듣고 보는 판소리의 힘이다.

공연을 보고 나서 판소리에 대한 호기심이 더욱 커졌다. 모든 학교 과제를 판소리에 대해 쓰고, 책과 논문을 읽으면서 장르에 대해 알아갔다. 한편 영문으로 된 논문은 종종 소리꾼을 과거에 사는 사람처럼 느끼게 해서 과연 현재의 소리꾼들은 어떤 사람인지, 어떻게 살고 있는지 알고 싶어졌다. 결국 여태껏 해오던 문화정책 연구를 내려놓고, 인류음악학(음악을 통해 문화를 연구하고, 문화를 통해 음악을 연구하는 학문)을 통해 ‘현재의 판소리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박사학위 과정에 들어가 연구를 시작했다.

이를 계기로 1년 동안 한국어 공부와 연구 준비를 한 후, 2014년 9월부터 한국에서 1년간 현장 연구를 했다. 판소리와 관련된 공연을 보고, 인터뷰도 하고, 인류음악학이라는 학문의 기본 원칙에 따라 연구하고자 하는 대상인 판소리를 직접 배워보기도 했다. 판소리계에서는 한 스승을 모시는 것이 원칙이지만 나는 실기자가 아닌 연구자인 만큼 각 선생님들께 양해를 구하고 한국에서 판소리를 배울 수 있는 여러 가지 맥락을 경험했다. 한국인과 외국인 아마추어를 위한 단체수업, 대학교 동아리, 그리고 개인 레슨까지 받았다. 특히 개인 레슨을 해주신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흥보가) 이수자인 민혜성 명창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본인도 연구를 하고 계신 만큼 연구자에게 필요한 부분이 무엇인지 잘 이해해 주셔서, 소리를 배우는 일 외에도 그가 전해준 판소리에 대한 이야기는 내게 많은 도움이 되었다. 또한 선생님을 통해 박송희 명창도 만날 수 있었다.

연구를 하면서 여러 소리꾼을 만나 많이 배웠고, 특히 박송희 명창과 인터뷰한 일이 인상 깊었다. 판소리 근대 역사에서 중요한 모든 순간에 함께하신 것이 놀라웠고, 당시 처음 들은 ‘인생백년’이 기억에 남는다. 이 노래는 박송희 명창이 그의 스승인 박록주 명창이 돌아가시기 전에 하신 말씀을 기반으로 작곡한 곡이다. 짧은 단가 안에 인생이 담겨 있다. 박록주 명창이 돌아가셨을 때 마지막 인사를 못 한 것에 대한 슬픔을 표현하시며 박송희 명창이 단가 ‘인생백년’을 부르셨을 때 가사의 의미가 진하게 가슴에 와닿았다.

인생백년 꿈과 같네. 사람이 백년을 산다고 하였지만
어찌하여 백년이랴. 죽고 사는 것이 백년이랴.

인생백년이 어찌 이리 허망하랴.
엊그제 청춘홍안이 오늘 백발이 되고 보니
죽는 것도 섧지마는 늙는 것이 더욱 섧네.
인생백년 벗은 많지마는 가는 길에는 벗이 없네.

어와 세상 벗님네들 이내 한 말 들어보소.
청춘세월을 허망히 말고 헐일을 허면서 지내보세.

안나 예이츠와 고 박송희 명창

박송희 명창이 본인의 슬픔을 담아 표현한 단가 ‘인생백년’처럼, 판소리에 모든 감정이 담겨 있다는 점은 매우 커다란 매력으로 다가온다. 처음에는 판소리라는 소리 자체에 관심을 가졌다면 이제는 판소리 속 이야기에 담긴 상황에 더 집중하게 된다. 지금은 조선시대와 너무도 다른 환경이지만 흥부가 놀부에게 살려달라고 말하는 간절한 감정은 코로나가 종식되기를 바라는 마음과 유사하다고 생각한다. 주변 상황이 달라졌어도 사랑과 이별은 여전히 계속된다. 괴롭히는 사람한테 뭐라고 하는 춘향이, 흥부 마누라 같은 캐릭터를 보면 속 시원하고, 늙어가는 것에 대해 슬퍼하는 춘향 어머니와 공감할 수 있고, 가족보다 돈이 더 중요한 놀부, 남자 잘 만나 그 덕에 잘살고 싶은 뺑덕어멈 같은 사람을 누구나 한 번쯤 만나보았을 것이다. 본인 상황과 감정에 맞는 이야기를 찾을 수 있다는 점이 판소리의 가장 큰 매력이 아닐까 싶다.

최근에는 공연도 했다. 민혜성 선생님의 외국인 제자와 함께 부를 대목을 고르며, 이 대목이 우리에게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설명했다. 내 소리는 아직 부족하지만 다른 사람들이 우리가 전하려고 하는 감정에 반응하고, 실제로 판소리를 처음 들은 이들이 “이렇게 재미있는 줄 몰랐다”는 감상을 들려줄 때는 정말 뜻깊었다. 공연을 찾아주신 소리꾼, 국악인의 피드백도 영광스러웠지만, 판소리를 처음 접하는 분들이 우리 공연을 통해 판소리에 대한 호기심을 갖게 되는 일 또한 보람 있었다. 이는 단순히 나의 소리가 좋아서가 아니라, 무대를 통해 관객들이 판소리의 매력을 발견하고 공감대를 나누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판소리의 힘은 무엇일까. 어떻게 단번에 격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낼까. 판소리를 어려워하는 사람도 있지만 판소리에 얽힌 이야기를 들으면 금세 흥미를 느끼고, 한 번만 공연에 같이 가면 그곳에서만 느낄 수 있는 현장감에 빠져든다. 나는 매 학기 내 학생들에게 국악 공연을 보게 하는데 주요 판소리나 창극 공연인 경우가 많다, 공연을 본 학생들의 반응은 항상 뜨거웠고 내가 그랬듯 모든 과제를 판소리에 대해 쓰는 학생이 생긴다. 호기심으로 시작된 감정이 판소리의 아름다움을 이해하기까지 더욱 깊게 이어지기를 바란다. 나는 교육자이자 연구자로서 할 수 있는 일을 계속해서 할 것이고, 소리를 즐기는 사람으로서 꾸준히 소리의 길을 걸을 것이다.

글. 안나 예이츠 2020년부터 서울대학교 국악과에서 인류음악학을 가르치는 교육자이자 연구자다. 2013년부터 판소리를 만나 현재까지 배우고 있고, 판소리와 국악을 널리 알리기 위해 국내외 교육과 공연 활동을 하고 있다.

A new
perspective

Assistant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Korean Music, Seoul National University Anna Yates-Lu
Pansori, Encompassing One Hundred Years of Life
KR EN
Many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re thinking deeply about the present status of pansori. Among them, there is one who definitely stands out. It is Anna Yates-Lu, an assistant professor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who received her doctorate on 'Today's Pansori' at University of London. How did she fall for pansori?

Pansori is a genre that encapsulates all emotions of human beings including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That is why I continue to be keen on and discover new charms of it even though I have been living with pansori for a long time.

I discovered the genre of pansori in 2013, but when I actually I watched a pansori performance for the first time was well before that in Germany. I was born in 1989 into a half-English, half-German family, and grew up in a small village south of Munich, Germany. There weren’t really many opportunities to experience other cultures, but I remember that I watched Im Kwon-taek’s <Chunhyang> on TV by accident. At that point, I didn’t yet have any awareness of pansori, but just enjoyed the scenes with beautiful hanbok and its emotional story.

I entered the world of pansori in earnest in January 2013 while I was taking a class on traditional Asian music to earn my credits, To be honest, I couldn’t really find the charm of pansori introduced by video and audio alone. In the meantime, I watched a concert held by the Korean Cultural Centre UK. That memory is still very vivid to me. Master pansori singer Song Sunseop (Jeokbyeokga), performed together with his student, Lee Jaram, singing the ‘Song of the Birds’ and ‘Jo Jaryong shooting arrows’ from ‘Jeokbyeokga’. At first, I was astonished by this singing style that was capable of imitating bird sounds, and then I was further amazed by the singers’ ability to portray boats on a river, a battle, and flying arrows purely with their voice and ballim (gestures) using a fan. At that time I was definitely not able to understand the content of ‘Jeokbyeokga’ with my Korean skills, but the performers’ expressiveness allowed me to follow the story without difficulty. This is the power of live performance of pansori.

After the performance, my curiosity about pansori grew, and I ended up writing all my remaining assignments about pansori, trying to find out as much as I could by reading various books and articles. Some English material, however, delievered the sense that pansori singers were people living in the past, making me particularly curious about what pansori singers today were actually like. At the end, I chose to change my research subject from the cultural policy that I had done so long to the ethnomusicology (studying music through culture or culture through music), with the aim to answer the question “what is contemporary pansori?” through my doctoral research.

With this as an impetus, I spent the first year for preparatory research and Korean language training, before travelling to Korea in September 2014 to begin one year of fieldwork. During the field study, I watched many pansori-related performances, did many interviews, and, even learned pansori in keeping with basic principles of the discipline of ethnomusicology. Traditionally, people in the pansori world follow only one teacher, but as my purpose was research, not to become a practitioner, I sought understanding of teachers and could experience a variety of contexts of pansori lessons in Korea. I learned pansori in amateur groups for both Koreans and foreigners, in university clubs, as well as in private lessons. While I received a lot of help from all my teachers, it was my private teacher Min Hyesung, the transmitter of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Pansori ’Heungboga’, who made the greatest influence on me. As she was also doing her own research at that time, she understood what kind of information and materials a researcher might need. So instead of just teaching me singing, she informed me of various aspects of pansori genres. Thanks to Ms. Min, I was also able to meet the master singer Park Songhui.

I met many singers during in the process of my research, and learned a lot from them, In particular, the interview I did with the master Park left a lasting impression on me. I was stunned to learn that the master Park Songhui had lived through most of all important moments in modern pansori history. I strongly remember the song titled “One Hundred Years of Life” which I heard for the first time during the interview. The master Park Songhui composed based on the last words of her teacher Park Nokju. This short song contains the whole life. When the master Park Songhui sang “One Hundred Years of Life” by expressing her sorrow that she was unable to say good bye when her teacher passed away, I felt the meaning of the lyrics so deeply and strongly.

One hundred years of life are nothing but a dream.
People are said to live for a hundred years, but how can this be so?
Is it one hundred years for death and life?

One hundred years of life, how is it so futile?
Yesterday I was a ruddy-faced youth, today I am gray-haired old,
Dying is great sorrow but aging is the greater pain.
In one hundred years of life we meet many friends
But on the path to the afterlife we must walk alone.

Oh you my friends, listen to my words.
Don’t waste your youth but spend your time doing what must be done.

Anna Yates-Lu and the master Park Songhui

In the same way as Park was able to express her sorrow through the piece “One Hundred Years of Life”, pansori contains the whole spectrum of human emotion within it. This has become even more prominent for me as one of pansori’s main attractive points. I first felt drawn to pansori by the sound itself, but now I find myself focusing ever more on the situations encompassed in the pansori stories. Although I do not live in the Joseon Dynasty, the desperation with which Heungbo begs his brother Nolbo to save him is something which I can relate to, after three years of desperately wishing the Covid-19 pandemic would go away. Although our circumstances may have changed, we still fall in love and part from loved ones. Characters like Chunhyang and Heungbo’s wife, who tell off the people who torment them, let us feel satisfaction by proxy. We can sympathize with Chunhyang’s mother, who feels sad from aging as well. Anybody would have once met people like Nolbo, who thinks money is more important than family, or Ppaengdeok, who wants to meet a man and live a comfortable life. The fact that anyone can find stories that they can understand the situations or emotions is probably pansori’s greatest virtue.

I recently did a performance. While I chose the pieces to perform with several of Min’s foreign students, we tried to explain what these pieces mean to us. Although my singing still needs to be improved, the fact that people responded to the emotions we were trying to convey, and that people watching pansori live for the first time told me “I didn’t realise it was so much fun” made this a very meaningful moment for me. While it was a great honour that professional singers and other Korean traditional artists came to watch our performance and gave us feedback, I think my greatest satisfaction came from people who didn’t know about pansori before and became curious about it through our performance. I believe it was not because that my singing skills were good, but because that this performance gave the audience an opportunity to properly meet these stories, emotions and ideas to sympathize with which were already innate to the pansori genre.

What is the power of pansori? How can it draw out such passionate reactions? I have met many people who find pansori difficult, but they find it entertaining once I introduce them to some of the stories. Moreover, most of them feel the power of a pansori performance when they go to see it live. I take my students to a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every semester, and usually we tend to watch either a pansori or changgeuk (pansori-derived musical theatre) performance. The students’ reactions to these performances are always very enthusiastic, and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y end up writing their remaining assignments about pansori, the way I did back in the beginning. I hope that many more start from this initial curiosity to fall more deeply into the beauty of pansori. I will continue to do my best both as an educator and a researcher, and as a pansori enthusiast, I intend to continue walking the path of pansori as well.

Writer. Anna Yates-Lu is an educator and researcher specialized in ethnomusicology at the Depart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from 2020. She has been learning pansori since 2013 until the present day and is active with various education and promotion activities for both pansori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at home and abroad.

Translator. Moony Choi
<월간 국립극장> 구독신청 <월간 국립극장> 과월호 보기
닫기

월간지 '월간 국립극장' 뉴스레터 구독 신청

뉴스레터 구독은 홈페이지 회원 가입 시 신청 가능하며, 다양한 국립극장 소식을 함께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또는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편리하게 '월간 국립극장'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회원가입 시 이메일 수신 동의 필요 (기존회원인 경우 회원정보수정 > 고객서비스 > 메일링 수신 동의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