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짓언어

한국춤의 호흡
호흡에 의한, 호흡을 위한
국립무용단 무용수들은 매일 아침을 ‘국립기본’으로 시작한다. 발레에 바가노바 혹은 체케티 메소드가 있다면, 한국춤에는 ‘기본’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신무용을 주창한 송범 선생이 다듬은 국립기본은 전통춤의 아성을 간직하는 동시에, 판이 아니라 극장 무대에 서야 하는 무용수들에게 꼭 맞는 ‘기본’으로 자리 잡았다. 굿거리장단으로 시작되는 기본은 무용수에게 규율이자 그 위에 새로운 것들을 쌓기 위한 기반이 돼왔다. 그리하여 한국춤의 몸짓에 깃든 이야기를 되새겨 보고자 국립기본에서 그 흔적을 찾았다. 팔다리부터 손과 발, 허리, 어깨, 그리고 그 모든 것을 아우르는 호흡에 이르기까지 차근차근 짚어본다.

한국춤을 설명할 때 빼놓지 않고 등장하는 말이 있다. ‘정중동(靜中動)’. 쉽게 말해 ‘정’의 순간에 ‘동’이 공존하며, ‘동’하는 중에도 그 중심에는 ‘정’이 있다는 의미다. 겉으로 보기에 정적인 움직임에도 그 내면에서는 끊임없는 활동이 이뤄지고 있고, 무용수는 동적인 움직임을 위해 자신만의 중심을 단단하게 가진다. ‘정중동’과 ‘동중정’의 순환은 어디에서 이루어지는가. 흔히 팔과 다리의 움직임이라 생각할 수 있으나, 그 동력은 다름 아닌 무용수의 ‘호흡’에서 비롯한다.
기와지붕과 버선코, 소맷자락에서 보이는 곡선과 한반도를 가로지르는 굵직한 산맥의 능선. 주변의 자연을 바라보자. 우리 몸이 그려내는 춤사위는 그러한 자연의 모습과 얼마나 가까우며, 그래서 말 그대로 자연스러운 몸짓이 된다. 인위적으로 모양이나 형태를 조합하기보다는 자연적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한국춤의 사위에는 생명을 상징하는 호흡이 존재하며, 그 순환 원리 또한 생태와 궤를 함께한다.
한국춤에서 호흡은 비단 숨 쉬는 데 그치지 않고, 동작과 선을 만들고 춤 전체를 아우른다. 또한 움직임을 춤이라 부르기 위해서는 호흡이 존재해야 하며, 어떻게 호흡하느냐에 따라 춤의 색깔도 달라진다. 호흡은 무용수의 감정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바탕이 된다. 춤에서 호흡은 내 주변의 공기를 느끼며 들이쉬고 내쉬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몸짓에서부터 발현되는 것이다. 예컨대 “호흡이 길다”라는 표현은 실제로 호흡의 정도가 길다는 것이 아니라 그만큼 감정이 풍부하고 춤선이 유려함을 뜻한다.

한국춤의 호흡은 동작과 선을 만들고 춤 전체를 아우르며 풍성한 감정 표현을 만들어낸다.
외양이 같은 동작을 하더라도 시선과 호흡에 따라 표현이 달라진다. 바닥으로 깊게 누를 때와 하늘을 향해 뻗어낼 때의 효과가 대비를 이룬다.

특정한 활동을 하거나 몸의 상태에 따라 일상을 살아가는 리듬과 걸음걸이가 달라지는 것처럼 춤의 호흡 역시 움직임과 작품에 따라 무궁무진하게 변화한다. 이론적으로 규정하기 위해 정호흡·중호흡·세호흡 같은 이름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그저 구분하기 위한 명명 이상의 의미는 아니다. 오히려 실제로 무용수들은 작품의 대본이야말로 움직임과 호흡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라고 이야기한다. 특정 장면을 만들고 캐릭터를 연기하는 것이 춤의 언어와 호흡을 결정한다.
한편으로 호흡은 여러 무용수가 함께 춤추는 군무에서 특히 중요한 부분이자 작품의 완성도를 좌우하는 핵심이다. 예컨대 팔 동작을 맞추기 위해 “45도 각도로 오른팔을 들어 올린다”고 하지 않고, “기본 자세로부터 여덟 장단에 걸쳐 (호흡이) 올라간다”고 설명한다. 외적으로 동일한 동작을 행하는 것만 아니라 장면의 전 구성원이 같은 지향점을 갖고 함께 호흡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모두가 이상적으로 그리는 이미지를 향해, 춤이 지향하는 미적 가치를 고양하기 위해 말이다.
어떻게 호흡하는지는 결국 어떤 춤을 만들어내는지에 달려 있다. 무게감이 충만한 춤을 만들기 위해서는 깊고 넓게 호흡하는 것이 필요하다. 체중을 이용해 바닥으로 깊게 누르고, 묵직하게 호흡을 내리는 것과 반대로 양옆과 위쪽으로 뻗어나가며 동작의 범위를 한껏 확장한다. 이러한 호흡은 강렬하고, 또 전체 작품에서 특정 부분에 대비되는 효과를 자아낸다. 반면 이른바 “아름답다”고 일컬어지는 형상과 오라(aura), 천상에 다가가는 듯한 미적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호흡을 끌어올려야 한다. 상하를 오가는 호흡 사이, 힘을 빼고 호흡을 고르는 것 또한 중요한 지점이다. 마치 무중력상태인 듯 공기의 에너지를 느끼는 정적인 호흡은 춤의 집중력을 만들어낸다.

함께 춤춘다는 것은 결국 함께 호흡하고 함께 그림을 만들어가는 과정이다.

한국춤의 호흡은 독특하게 느껴지는 부분이지만, 한편으로는 동양의 춤에서 보편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것이기도 하다. 방글라데시에 뿌리를 두고 영국에서 활동하는 안무가 아크람 칸의 독특한 춤 스타일은 움직임에 깃든 독특한 호흡으로 말미암아 진정성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컨템퍼러리 댄스에 인도의 전통춤인 카탁을 접목해 동양과 서양을 오가는 동시에, 국적의 경계를 넘어선 동시대성을 드러낸다. 다양한 춤을 뒤섞었지만 그것이 아크람 칸 스타일로 각인되는 것은, 카탁의 독특한 호흡과 발디딤 동작이 그의 춤에 숨 쉬고 있기 때문이다. 마치 기(氣)춤을 보는 것 같은데 이는 동서양 춤의 차이가 호흡에서 결정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한국춤에서 호흡을 더욱 직관적으로 느끼고 싶다면, 익히 알려진 소품 레퍼토리를 보자. 상승하는 호흡이 가장 잘 드러나는 작품은 부채춤이다. 함께 움직이고 함께 호흡하는 모습, 그리고 팔에서 손과 부채로 이어지는 선이 하나로 연결돼 끝없이 위를 향해 올라가려는 움직임이 인상적이다. 음악을 따라 모두의 호흡이 하나가 되면, 무용수들의 팔다리와 부채 또한 하나가 된다. 한편 묵직한 춤사위가 돋보이는 한량무는 같은 부채를 들었지만, 남성 무용수만의 근성과 호방함을 짙게 드러낸다. 한국춤에 깃든 다채로운 호흡은 승무를 통해 비교 감상할 수 있다. 의식무의 특성이 드러나는 정제된 분위기의 장면과, 장삼 자락을 얼기설기 휘날릴 때와 법고를 연주할 때의 호흡이 모두 달라지는데, 그 변화가 작품 전체를 완성한다.
국립무용단 훈련장 장현수는 한국춤은 “호흡에 의해 시작하고, 호흡에 의해 끝난다”면서, “버리고 추는 춤”이야말로 잘 추는 춤이라고 했다. 가슴으로부터 우러나와 몸이 움직이기 시작하면, 진정 춤이 된다는 의미다. 그는 이렇게 덧붙였다. “내려놓는다는 것은 또 다른 시작이니까요.” 무언가 이루거나 어떤 모습을 만들고자 노력하지 않고, 오히려 호흡을 좀 내려놓고 편안하게 추는 춤. 그리고 그 순간 진정한 아름다움을 드러내는 춤. 한국춤의 미학은 그렇게 소박하면서도 형언하기 어려운 심도를 동시에 품고 있다.

자문. 국립무용단 훈련장 장현수
무용. 국립무용단 송설·송지영
사진. 전강인
글. 김태희 춤으로 시작해 전통예술·연극·시각예술까지 범위를 넓혀가며 예술을 글과 책으로 엮어내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발레를 전공하고 동 대학원에서 무용이론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월간 국립극장> 구독신청 <월간 국립극장> 과월호 보기
닫기

월간지 '월간 국립극장' 뉴스레터 구독 신청

뉴스레터 구독은 홈페이지 회원 가입 시 신청 가능하며, 다양한 국립극장 소식을 함께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또는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편리하게 '월간 국립극장'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회원가입 시 이메일 수신 동의 필요 (기존회원인 경우 회원정보수정 > 고객서비스 > 메일링 수신 동의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