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시선

차이커 에딧
서예가 우리에게 말하는 것
KR EN
한국 문화를 처음 접한 것은 꽤 오래전이었다. 당시 나는 숨돌릴 새 없이 바쁜 일상을 보내고 있었고,
우울감에 젖어 있던 어느 날 병원에서 수술을 받아야만 한다는 청천벽력 같은 소식을 듣게 되었다.
다행히도 큰 수술은 아니었지만, 어쩔 수 없이 병원에서 며칠을 보내야 했다.
그리고 운명은 언제나 그랬듯 묘한 방식으로 내게 찾아왔다.

병실의 TV를 통해 한국의 사극 <선덕여왕>을 보게 된 건 우연이었다. 그리고 동시에 운명이었다. 그 짧은 순간 작은 TV 속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이 놀랍고, 흥미로웠으며, 마침내 모든 것이 선명해졌다. 아마 그때, 앞으로의 삶이 전혀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게 되리라는 걸 직감했으리라. 나는 한국의 땅, 사람들, 그리고 멀리 떨어져 있는 ‘신비한’ 문화에 대해 (전부는 아니더라도) 가능한 한 더 많은 것을 알아내고 싶었다. 그중에서도 특히 나를 매료한 한 가지가 있는데, 바로 붓으로 아름다운 글자를 쓰는 모습이었다. 그 낯선 행위가 나의 호기심을 자극했고, 그 행위가 무엇인지 샅샅이 알아보고 싶었다.

점차 커지는 궁금증을 간직한 채 지내던 어느 날, 새로 문을 연 부다페스트 한국문화원에서 곧 가을학기 서예 수업을 시작할 예정이라는 소식을 듣게 되었다. ‘붓으로 글씨를 쓴다니, 그때 TV에서 본 게 서예가 아닐까?’ 하는 생각에 재빠르게 문화원 건물로 달려갔다. 그리고 처음 만난 사람에게 다짜고짜 “저 큰 붓으로 글을 쓰는 것이 서예가 맞나요?”라고 물었다. 그는 고개를 끄덕이며 마치 어린아이를 대하듯 미소 지으며 말했다. “네, 서예란 붓으로 글자를 쓰는 것입니다.” 한참 뒤 당시 일을 곰곰이 복기해 보니 처음으로 내게 서예가 무엇인지 알려준 그분이 바로 원장님이었음을 깨달았다.(웃음)

그 뒤로는 모든 일이 순리대로 흘러갔다. 조금의 망설임도 없이 서예 강좌에 등록했고, 나를 비롯한 서예 교실의 모든 학생은 금세 붓으로 한글을 쓰는 신비로운 예술과 사랑에 빠지고 말았다. 그 모든 것은 퇴임하실 때까지 우리를 가르쳐주신 문창석 선생님 덕분이었다. 나의 영원한, 존경하는 서예 스승이시다.

나에게 서예란, 수백만 가지의 숨겨진 비밀을 품고 끝없이 장엄하게 흘러가는 신비한 강과 같다. 이 마법을 경험할 유일한 방법은 차분하고 명상적인 마음 상태로 칠흑 같은 글자의 춤과 조화를 붓끝으로 만들고, 또 바라보는 것뿐이다. 하얀 종이 위에 쓰인 글자가 모두 나의 창조물이라는 데서 오는 압도적 기쁨은 덤이다.

2021년, 사랑하는 스승님께서 은퇴하시며 가장 나이 많은 제자 세 명에게 이렇게 말씀하셨다.
“여기, 헝가리에서 바로 여러분이 서예를 보존하고 유지해야 합니다. 우리는 함께 시작했지만, 이제는 여러분 혼자 이 길을 가야 합니다. 헝가리에서 여러분 외에는 누구도 한글 서예를 가르칠 수 없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이는 여러분에 대한 존중이자 큰 책임입니다.”

나는 때때로 이 책임이 너무 무겁고, 이 목적을 달성할 수 없으며, 내가 이 임무를 수행하기에 부족하다고 느낀다. 한밤중 불현듯 잠에서 깨 서예 교실 학생들의 질문에 어떻게 대답해야 하는지 고뇌하고, 좋은 해결책을 찾으려고 분투한다.

그럼에도 보람 있는 순간도 있다. 학기 말 다양한 레벨의 학생들이 기말시험 작품을 만들고 우리의 사랑이 담긴 서예 교실에 전시할 때다. 바로 그 순간이 나의 모든 노력에 대한 보상이다. 제자들은 눈을 반짝이며, 조금쯤은 자랑스럽게 “선생님, 제 작품이 괜찮은가요? 저는 잘하고 있나요?”라고 묻는다. 이런 순간이 모여 내게 진정한 동기를 부여하고, 계속해서 앞으로 나아가게 돕는다.

우리는 한글이 세상에서 가장 논리적인 언어적 경험과 규칙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글자라는 말을 숱하게 들어왔다. 당연하지만 이는 매우 경이로운 사실이며, 덕분에 누구나 쉽게 한글을 이해하고, 배우고,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한글 서예를 쓸 때는 조금 다른 특별함이 느껴진다. 명료함과 논리를 넘어 훨씬 더 흥미로운 숨겨진 매력을 발견하는 기쁨이 그것이다. 음절 비율의 황금률 등의 중요한 규칙이 많지만, 그보다 서예는 우리에게 큰 기회와 일종의 자유를 느끼게 한다. 바로 글자와 음절 간의 영원한 사랑을 발견함으로써 말이다! 둘 중 하나가 너무 작으면 다른 하나가 높이 서서 작은 것을 일으키고, 하나가 너무 두드러지거나 과하면 그다음 친구가 상대를 진정시키는 등의 섬세한 균형과 조화를 어찌 사랑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나는 영원한 화합을 말하고 발산하고자 하는 유일한 목표를 위해 서로를 들어 올리고, 지지하고, 미화하고, 단련하는 한글 서예에 푹 빠지고 말았다. 서예를 하면 마음이 안정되고, 균형과 조화에 대한 믿음이 회복된다.

친애하는 독자 여러분, 다가오는 10월 9일은 한글날 577주년이다. 그러나 그날 단 하루뿐 아니라 매일 매 순간 여러분의 특별하고 아름다운 한글을 자랑스러워하고 기념하기를 바란다. 그리고 만일 서예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생긴 이가 있다면, 꼭 말해주고 싶다. 나는 한글 서예를 통해 ‘화합’ ‘춤’ ‘균형’이라는 한글의 가장 중요한 메시지를 존중하는 법을 배웠다. 아직 서예를 시도해 본 적이 없다면, 지금이 바로 시작해야 할 때다! 나의 한국어 스승인 문창석 선생님의 말씀을 남기며 글을 마친다.

“붓은 여러분의 손으로 잡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의 손은 내면의 자아가 잡고 통제합니다. 그러니 먼저 여러분의 영혼에 질서를 세우세요. 그러면 여러분은 마법을 행하게 될 것입니다.”

※ 이 글은 차이커 에딧 님과의 서면 인터뷰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구성. 편집부

번역. 최문의

사진 제공. 주헝가리 한국문화원

A new
perspective

Csajka Edit
What calligraphy tells us
KR EN
The first moment I encountered Korean culture was quite a long time ago. At the time, I was leading a busy life without having any time to take a breath, and one day, when I was feeling depressed, I heard the shocking news that I need to undergo surgery from the hospital. Fortunately, it wasn't a big surgery, but I had to spend a few days on a sickbed. Then fate came to me in strange ways as always.

I came across the Korean historical drama titled “Queen Seondeok” on the TV in my hospital room. It was an accident, but at the same time, destiny. In that brief moment, everything happening on the small TV was amazing and interesting. And it all finally became clear. I probably sensed that my future would take a completely different direction just at that moment. I wanted to find out as much as possible (if not everything) about the land and people of Korea as well as a distant ‘mysterious’ culture. Among them, one thing that particularly intrigued me was beautiful letters being written with a brush. That unfamiliar behavior stimulated my curiosity, and I wanted to find out what it was.

One day, while my curiosity was growing, I heard that the newly opened Korean Cultural Center in Budapest was planning to start calligraphy classes for the fall semester. I quickly ran to the Cultural Center thinking, ‘Writing with a brush? Wouldn’t that be ‘calligraphy’ that I saw on TV back then?‘ I asked the person I ran into, “Is writing with that big brush called calligraphy?” He nodded his head and smiled as if I were a child. “Yes, calligraphy is writing letters with a brush.” After a while, I reflected on the incident and realized that it was the cultural center director who I bumped into. (laugh)

Everything went as it should afterwards. Without any hesitation, I signed up for the calligraphy class, and all the students in the class, including me, quickly fell in love with the mysterious art of writing Korean letters with a brush. All of that was thanks to the Master Chang-seok Moon, who taught us until he retired. He is my honorable calligraphy teacher who I would respect forever.

To me, calligraphy is like a mysterious river that floats endlessly and majestically, holding millions of hidden secrets. The only way to experience this magic is to create and look at the dance and harmony of pitch-black letters with the tip of a brush in a calm, meditative state of mind. The overwhelming joy that comes from knowing that every word written on white paper is my creation is an added bonus.

In 2021, when my beloved teacher retired, he delivered his message to his three oldest disciples saying “Here in Hungary, you must preserve and maintain calligraphy. We started together, but now you must walk this path alone. Please remember that no one can teach Korean calligraphy in Hungary except you. This gives you great respect and a huge responsibility.”

Sometimes I feel this responsibility is too heavy, that I cannot achieve this purpose, and that I am not good enough to carry out this task. I wake up in the middle of the night out of the blue, agonizing over how to answer questions from calligraphy class students, and struggle to find a good solution.

Still, there are rewarding moments. At the end of the semester, students at various levels create works for the final exam and display them in our calligraphy classroom of love. That very moment is the reward for all my efforts. The students’ eyes sparkle, and they ask with a little pride, “Teacher, is my work good?” or “Am I doing well?” These moments come together to truly motivate me and help me keep moving forward.

We have often heard that Hangul is the alphabet invented based on the most logical linguistic experience and rules in the world.
Of course, this is a very wonderful fact, and thanks to it, anyone can easily understand, learn, and use Hangul. However, writing Korean calligraphy feels a little different and special. It is the joy of discovering hidden charms that go beyond clarity and logic and are much more interesting. There are many important rules, such as the golden rule of syllable ratio, but more than that, calligraphy gives us a sense of great opportunity and a kind of freedom by discovering the eternal love between letters and syllables! When one of the two is too small, the other stands tall and raises something small, or when one is too prominent or excessive, the next one calms the other down. How can you not love this delicate balance and harmony? I fell in love with Korean calligraphy, which lifts, supports, glorifies, and trains one another for the sole purpose of speaking and radiating eternal unity. Calligraphy calms the mind and restores faith in balance and harmony.

Dear readers, this coming October 9th marks the 577th anniversary of Hangul Proclamation Day. However, I hope that you will be proud of and celebrate your special and beautiful Hangul, not just on that day, but every day, every moment. And if there is anyone who has the slightest interest in calligraphy, I would like to tell them. Through Hangul calligraphy, I learned to respect the most important messages of Hangul: ‘harmony,’ ‘dance,’ and ‘balance.’ If you haven't tried calligraphy yet, now is the time to start! I end this article with a quote from my Korean teacher, Chang-seok Moon.

“The brush is held by your hand. But your hand is held and regulated by your inner self. So make order in your soul first, and then you will do magic.”

※ This article was written based on a written interview with Csajka Edit.

Composition. Editorial Department

Translator. Moony Choi

Image. Korean Cultural Center in Hungary
<월간 국립극장> 구독신청 <월간 국립극장> 과월호 보기
닫기

월간지 '월간 국립극장' 뉴스레터 구독 신청

뉴스레터 구독은 홈페이지 회원 가입 시 신청 가능하며, 다양한 국립극장 소식을 함께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또는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편리하게 '월간 국립극장'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회원가입 시 이메일 수신 동의 필요 (기존회원인 경우 회원정보수정 > 고객서비스 > 메일링 수신 동의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