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시선

건축가 텐들러 다니엘
글로벌 세상 속 전통문화
KR EN
자본주의와 전통문화의 가치를 동시에 떠올리는 것이 가능할까. 이 질문에 대한 명확한 답은 누구도 내리기 어려울 것이다. 다만 한옥을 사랑하고 한국 문화를 사랑하는 다니엘의 경험을 통해 여러 답의 한 갈래를 이야기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우리는 급속히 변화하는 자본주의 세상에 살고 있다. 때론 세상이 자본의 논리로만 굴러간다는 생각이 들 정도다. 모두가 수익과 발전을 목표로 할 때, 우리는 전통문화의 의미를 자문할 수밖에 없다. 실제로 “이런 거 굳이 왜 해야 할까요?”라는 질문을 여러 차례 들었다. 전통문화가 왜 필요하냐고 묻는다면 먼저 문화가 왜 필요하냐고 물어야 한다. 문화란 인간이 상호작용하고, 주어진 환경에 맞춰 삶을 살아가면서 만들어진다. 미술·음악·춤만이 문화는 아니다. 가족·일·유흥·주거 등의 일상도 문화에 속한다. 그렇기에 문화는 필수 불가결한 것일 수밖에 없다.

서로 맞닿고 이어지는 문화

비교적 교통이 발달하지 않은 근대 이전에는 먼 나라와 교류하기가 쉽지 않았다. 덕분에 나라마다 뚜렷하게 특색 있는 문화를 유지·발달시킬 수 있었다. 하지만 이동 수단의 발달로 국가 간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이제는 전 세계 어디로나 쉽게 이동할 수 있고, 정보 또한 인터넷을 통해 순식간에 퍼진다. 그 결과 우리의 문화는 서로 맞닿아 비슷해지기도 한다.

그 예로 홍콩에서 경험한 기시감에 관해 이야기할 수 있을 것 같다. 몇 년 전 홍콩에 사는 사촌 누나를 만나러 간 적이 있다. 누나네 아파트에 들어가니 이상할 정도로 낯이 익었다. 그래서 가구를 어디서 샀냐고 물었더니 이케아(IKEA)에서 샀다고 했다. 독일도 예전부터 이케아가 유행이었다. 아마도 그 때문에 낯익은 느낌이 들었던 것 같다. 한국에 처음 이케아가 생겼을 때도 어린 시절 추억을 떠올리며 방문했더랬다. 같은 동선으로 짜인 공간, 비슷한 인테리어 사이에서 식당의 음식만 한국식으로 맞춰 운영되고 있을 뿐이었다. 그게 처음엔 너무 어색했다, 독일에 간 것 같은 기분이 들었기 때문이다. 심지어 이 회사는 독일이 아닌 스웨덴 회사다. 하지만 그만큼 독일 주거 문화에 큰 역할을 하고 있어, 같은 브랜드 매장에 방문하는 것만으로도 독일 문화를 만났다는 생각이 들 정도다. 우리는 여기서 작은 나라 스웨덴이 만들어낸 문화의 힘을 엿볼 수 있다. 또 그 힘이 창출해 낸 경제적 힘까지.

이러한 변화는 젊은 세대를 보면 더욱 두드러진다. 음악·영화·드라마 등 콘텐츠의 확산으로 국경과 세대를 넘어선 이들이 같은 문화를 공유하게 되고, 이는 통합문화를 형성하기도 한다. 최근 10년간 한국의 문화콘텐츠는 놀랄 정도로 성장했다. 이제 한류는 상상 속에 있는 것이 아니라 실재하는 현상이다. 13년 전만 해도 독일에서 누군가 한국으로 온다는 것 자체가 신기하게 여겨졌다. 하지만 이제는 한국에 체류 중인 독일 친구가 너무 많아서 다 만나지도 못할 정도다. 어머니의 증언에 따르면, 최근 몇 년 사이 “우리 딸이 한국에 미쳤어요. K-팝과 한국 드라마를 너무 좋아하고 한국어 공부도 하고 있어요. 나중에 한국에 공부하러 가고 싶다고 해요.”라며 한국인인 어머니를 반가워하는 이들이 늘어났다고 한다. 그 덕에 ‘K-팝’이 그룹 이름인 줄 알던 우리 어머니도, 그게 그룹명이 아니라는 걸 알게 되셨고, 더불어 BTS도 알게 되셨다. 이는 결국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질 것이다.

삶과 가치의 동상이몽

이처럼 우리 문화가 ‘핫’해지면서 소프트파워가 생기는 건 반가운 일이지만, 그만큼 염려되는 부분도 있다. 문화도 비즈니스가 돼버린 지금, 수익을 최우선의 목표에 둔다면 문화가 지닌 고유의 가치는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딜레마다. 특히 전주 한옥마을에서 이 딜레마를 자주 목격하게 된다. 전주 한옥마을이 막 형성됐을 때는, 한옥 자체가 하나의 개성이었고, 많은 이들이 이 개성을 좇아 전주를 찾았다. 어떤 집은 유지돼 좋았고, 어떤 집은 새로 짓게 돼 좋았다.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고, 경험할 수 있게 된 것이 특히 좋았다. 하지만 몇 년 후에 친구와 한옥마을을 재방문했을 때 아쉬움을 마주할 수밖에 없었다. 무질서하게 간판이 늘어섰고, 불량 음식점이 곳곳에 자리 잡고, 어떤 격식도 갖춰지지 않은 ‘수입 한복’이 즐비했다. 심지어 놀이동산처럼 전기 카트 타고 마을 곳곳을 달리는 사람도 있었다. 구경하는 길에 미국 관광객이 가이드와 대화하는 게 들렸다. 한복 대여에 관한 대화였다. 가이드분이 그 많은 한복이 전통 한복이 아니라는 설명을 한 모양이었다. 그러자 관광객 한 명이 실망스러운 표정으로 이렇게 말했다. “그렇다면 이건 카니발 정도의 가치가 있겠네요.” 그 순간 나는 좀 부끄러웠다.

조금 더 걷다가 부채를 파는 가게에 들어갔다. 거기엔 관광용 부채가 많았다. 친구는 까칠한 말투로 가격을 물었고, 마음에 안 드는 내색을 하며 검토하듯 둘러보았다. 그러다 뒷공간에서 가게 주인이 직접 만든 작품을 보게 됐다. 거기엔 진짜 전통 부채들이 있었다. 친구는 황급히 사과하고 큰절을 드렸다. 그러자 그는 이해한다며, 먹고살기 위해선 저렴한 수입 제품도 함께 팔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곤 한국 부채의 특징을 설명하고는 그림을 한 점 그려 선물해 주셨다. 그 순간에 알 수 있었다. 전통문화가 이 혼란스러운 시기도 이겨낼 거라는 것. 다만 언제나처럼 고민은 필요하다.

문화란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계적 통합문화가 형성된다고 하더라도 개별 집단이 지닌 고유의 문화는 그만큼 핵심의 위치를 차지할 것이다. 문화에는 몇백 년, 아니 몇천 년 동안 쌓인 우리만의 생활방식과 역사가 압축돼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한’이나 ‘흥’이라는 개념을 들 수 있다. 이것은 한국의 전통문화에 관해 공부하거나 직접 경험한 외국인이 이해하기엔 어려운 개념이다. 그들이 스스로 우리나라를 깊이 이해한다고 자부할지언정 말이다. 나 역시 이를 독일말로 뭐라고 번역해야 할지 모르겠다. 독일어에는 딱 맞는 표현이 없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는 외국에서 자라며 겪었던, 동포로서의 감성과 기억이 이러한 개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뿐이다. 사실 이런 개념은 백번 설명을 듣는 것보다 전통음악이나 춤사위를 통해 직접 체득하는 편이 더 낫다.

어찌 됐건 먹고사는 일은 중요하고, 전통문화를 업으로 삼아 먹고사는 일을 해결하려 한다면 그는 이미 비범한 사람일 거다. 하지만 본래의 가치를 잃지 않기 위해 자신만의 노력도 필요할 것이다. 가게 한 켠에 공방을 만들고 본래의 가치를 온전히 담은 부채를 만들던 전주의 한 장인처럼 말이다. 물론 수입 부채를 팔 필요가 없는 환경을 만들 수 있다면 가장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전통문화는 우리의 정체성을 담고 있고, 이는 우리를 비추는 거울이기도 하니까.

글. 텐들러 다니엘 한국인 어머니와 독일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나 한국 문화를 사랑하는 한국인으로 자랐다. 지금은 건축 아틀리에 어반디테일을 운영하며 한옥을 짓고 산다.

A new
perspective

Daniel Tendler
Traditional culture in the global world
KR EN
Would it be possible to think of the values of capitalism and traditional culture
at the same time? No one will be able to give a clear answer to this question.
Through Daniel's experience who loves hanok and Korean culture,
however, we can open up a talk about one of many answers.

We live in a rapidly changing capitalist world. Sometimes, it even leads me think that the world is run by the logic of capital alone. When everyone aims for profit and development, we have no choice but to ask ourselves the meaning of traditional culture. In fact, I have been asked the question “Should we be bothered to do this?” several times. If I am asked about why we need traditional culture, we should first raise a question about why we need culture. Culture is created as humans interact and live their lives according to the given environment. Not only art, music and dance form culture, but also daily life such as family, work, entertainment, and residence also belongs to culture. Therefore, culture is indispensable.

Culture that meets and connects with each other

Prior to modern times when transportation was relatively undeveloped, it was hard to interact with distant countries. Rather, each country could maintain and develop distinctly different cultures. With the development of means of transportation, however, exchanges between countries have become active, and now it is easy to move anywhere in the world, and information spreads quickly through the Internet. As a result, our cultures closely contact with each other and become similar.

As an example, I would like to talk about the feeling of deja vu I experienced in Hong Kong. I visited my cousin in Hong Kong a few years ago. When I entered her apartment, it looked strangely familiar. I asked her where she bought the furniture and she said they were from IKEA. IKEA has been popular for a long time in Germany as well. Maybe that's why it felt familiar. When Ikea opened its first store in Korea, I visited there, recalling my childhood memories. It had the spaces designed with the same flow of movement and the similar interior, but only the menu of the in-store restaurant was adjusted to Korean style. It was so awkward at first, because it made me feel like I was in Germany. Furthermore, it is not German but a Swedish company. However, it plays a critical role in German residential culture, even to the point where I feel that I have encountered German culture just by visiting a store of IKEA. Here we can get a glimpse of the power of culture achieved by the small country Sweden, and even the economic power that the cultural power created.

These changes are more pronounced when it comes to the younger generation. With the spread of content such as music, movies, and dramas, people across borders and generations share the same culture, which also forms an integrated culture. Over the past 10 years, Korea's cultural content has grown remarkably. Now, Hallyu (meaning Korean culture wave) is no longer an imaginary phenomenon, but a real one. Even 13 years ago, the fact that someone from Germany would come to Korea was considered strange. But now I have so many German friends living in Korea that I can't even meet all of them. According to my mother's testimony, in recent years, more people welcome her just because she is Korean saying “My daughter is crazy about Korea. She loves K-pop and Korean dramas, and is also studying Korean. She says she wants to go to Korea to study later.” So even my mother, who once thought ‘K-Pop’ was the name of a celebrity, could learn that it was not, and also came to know BTS. This will be eventually followed by interest in traditional culture.

Different purposes of life and values

It is welcoming to see soft power being generated as our culture becomes ‘hot’, but there are concern as well. Now that culture has become a business, if profit is the top priority, the inherent value of culture can be depreciated. So in a dilemma indeed. I often witness this conundrum in Jeonju Hanok Village in particular, When the Jeonju Hanok Village was just established, the hanok itself was a uniqueness, and many people came to Jeonju to enjoy this unique charm. It was nice that some hanoks were maintained as they were while some were built new. I was especially happy that anyone could easily access and experience it. However, when I revisited the Hanok Village with my friend a few years later, all I felt was nothing but regret. Signboards were lined up chaotically, bad restaurants were open here and there, and ‘imported hanbok’ without any formality overflowed. Worse yet, some people even rode electric carts and ran all over town like an amusement park. On the way, I overheard a dialogue between American tourists and a tour guide about hanbok rental. The guide seemed to have explained that many of the hanbok were not traditional ones. Then one of the tourists said with a disappointed expression. “Then this must be worth a carnival only.” I felt a bit ashamed at that moment.

After walking a little further with my friend, we entered a fan shop. They sold a number of fans for tourists. My friend asked the price in a salty tone, and looked around the fan as if examining it, expressing disapproval. Then, she saw the works the shop owner made himself in the back space. They were real traditional fans. My friend hastily apologized and bowed deeply. She said he understood, and explained that she had no choice but to sell cheap imported goods to make a living. Then he explain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ans and drew a picture for my friend as a gift. I could get a lesson in that moment that. Traditional culture will survive this confused period. However, as always, deliberations are necessary.

Culture plays a pivotal role in shaping identity. Even if culture becomes integrated globally, the endemic culture of each individual group will occupy the core position, because our own way of life and history accumulated over hundreds or even thousands of years are compressed in culture. For example, let’s think about the concepts of ‘Han’ or ‘Heung’. These are difficult concepts for foreigners who have studied or experienced Korean traditional culture to understand, even though they pride themselves on having a deep understanding of Korea. I also don't know how to translate these words into German, because there is no perfect expression to convey the meanings in German. Personally, my emotions and memories as a compatriot experienced while growing up in a foreign country help me understand their concepts. In fact, it is better to learn those concepts directly through traditional music or dance than to listen to hundreds of lectures.

In any case, bread and butter is crucial, and if someone tries to make a living by using traditional culture as a business, he or she would already be an extraordinary person . However, it will also require one’s own efforts in order not to lose the original value just like the craftsman in Jeonju who set up a workshop in one corner of the shop and made fans that fully contain the original value. Of course, it would be best if an environment could be established where he doesn't need to sell imported fans. Traditional culture includes our identity as a mirror that reflects ourselves.

Writer. Daniel Tendler was born to a Korean mother and a German father, and grew up as a Korean who loves Korean culture. He is now running an architectural atelier, Urban Detail, and builds and lives in a traditional Korean house, hanok.
<월간 국립극장> 구독신청 <월간 국립극장> 과월호 보기
닫기

월간지 '월간 국립극장' 뉴스레터 구독 신청

뉴스레터 구독은 홈페이지 회원 가입 시 신청 가능하며, 다양한 국립극장 소식을 함께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또는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편리하게 '월간 국립극장'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회원가입 시 이메일 수신 동의 필요 (기존회원인 경우 회원정보수정 > 고객서비스 > 메일링 수신 동의 선택)